임대사업자 부가가치세 신고 방법_쉬운 설명으로 따라하기

‘임대사업자 부가가치세 신고 방법’

 

임대사업자 부가가치세는 임대료를 받으면서 함께 받은 부가가치세를 신고 주기별로 납부하는 세금입니다.

 

오늘은 일반과세자인 개인 임대사업자가 부가가치세를 신고하는 방법에 대해 최대한 쉽게 안내해 보겠습니다.

 

국세청 홈택스를 이용하면 간편하게 신고가 가능하니 천천히 따라와 보시기 바랍니다.

 

 

 

 

 

임대사업자 부가가치세 신고 방법

 

 

 

1.임대사업자 부가가치세 안내

 

개인 임대사업자 부가가치세





•부가세 확정신고

매년 1월/7월

: 1일~25일 사이에 확정 신고 후 납부

 

부가세 예정신고

매년 4월/10월

: 1일~25일 사이에 직전 과세기간 납부액의 50% 납부(신고X)

 

부가가치세는 6개월을 과세기간으로 하여 신고⋅납부하며, 각 과세기간을 다시 3개월로 나누어 중간에 예정 신고기간을 두고 있습니다.

 

법인은 부과세를 연 4회(1월/4월/7월/10월) 신고하는 반면, 개인은 연 2회(1월/7월)만 신고하면 됩니다.

 

즉 일반과세자인 개인 임대사업자는 4월과 10월에 부가세의 50% 정도를 예정신고한 뒤, 본 신고기간인 1월과 7월에 예정 납부액을 제외한 나머지 금액을 확정신고 후 납부하면 됩니다.

 

 

 

2.임대사업자 부가가치세 신고 방법

 

•신고방법

 : 서면신고 or 홈택스 전자신고

•홈택스 전자신고 문의

☏(국번없이)126

•부가가치세 자주 묻는 질문

→Q&A 바로가기

 





 

1)서면신고 

 

■신고서식 다운로드

국세청 홈페이지 > 국세정책/제도 >세무서식 > 부가가치세법 클릭

홈택스 > 세무서식 > 부가가치세법 클릭

 

 

■관할 세무서 찾기

-국세청 홈페이지 > 국세청 소개 > 전국 세무관서

 

 

 

 

 

2)홈택스 전자신고

 

임대사업자 부가가치세 신고 방법

1.홈택스 인증서 로그인

 

 

 

임대사업자 부가가치세 신고 방법

2.세금신고 > 부가가치세 신고 >일반과세자 신고 > 정기신고

 

 

 

임대사업자 부가가치세 신고 방법

3.사업자등록번호 옆 확인 클릭 > 업종코드 등 기본정보 확인

 

TIP

업종코드가 부동산 임대업 관련 코드가 아니면 오류가 발생하므로, 부동산 임대업 코드인지 확인 

ex)701201(비주거용 건물 임대업-점포)

ex)701203(비거주용 건물 임대업-지산)

*정확한 업종코드를 모르면 관할 세무서에 문의

 

 

 

임대사업자 부가가치세 신고 방법

4.입력서식 선택(보통 자동세팅)

 

 

 

임대사업자 부가가치세 신고 방법

5.임차인조회 클릭 > 부동산임대공급가액 명세서 입력

 

TIP

중간에 임차인이 바뀌는 경우에는 갱신일, 입주일, 퇴거일 입력 주의

 

[예시1]과세기간 중 임차인 변화가 없는 경우

: 갱신일, 입주일, 퇴거일 따로 입력없이 그대로 넘어감

 

[예시2]공실 상태에서 새로운 임차인이 들어온 경우

: 입주일은 임대차 계약서 상의 날짜 입력, 퇴거일은 작성하지 않음(과세기간 중 계속 임차시)

 

[예시3]기존 임차인 A가 2024년 8월 30일에 나가고, 새로운 임차인 B가 2024년 10월 15일에 들어온 경우

: 임차인 2명을 나눠서 작성

 

<임차인 A>

입주일 : 공란

갱신일 : 공란

퇴거일 : 2024년 8월 30일

 

<임차인 B>

입주일 : 2024년 10월 15일

갱신일 : 2024년 10월 15일

퇴거일 : 공란

 

 

 

임대사업자 부가가치세 신고 방법

6.자동으로 입력된 기타매출분(보증금 이자) 확인 > 입력완료

 





 

임대사업자 부가가치세 신고 방법

7.과세표준 및 매출세액 작성하기 클릭

 

 

 

임대사업자 부가가치세 신고 방법

8.전자세금계산서 불러오기 클릭 > 발행내역 자동 입력

 

TIP

만약 종이 세금계산서 발급분이 있다면 수기로 입력 > 입력내용추가

 

 

 

임대사업자 부가가치세 신고 방법

9.과세표준명세 작성하기 클릭

 

 

 

임대사업자 부가가치세 신고 방법

10.이미 작성한 매출금액 합계를 아래 금액란에 똑같이 입력 > 저장 후 다음이동

 

 

 

임대사업자 부가가치세 신고 방법

11.매입세액 작성하기 클릭 후 입력

 

TIP

매입금액은 임대 시 발생한 비용을 말합니다. 비용이 있다면 입력하고, 없다면 입력하지 않고 넘어갑니다.

ex)인테리어 비용, 수리비, 공실기간 관리비 등

 

 

 

임대사업자 부가가치세 신고 방법

12.경감⋅공제세액이 있다면 입력

(홈택스 신고 시, 전자신고 세액공제 1만원 자동 체크 됨)

 

 

 

임대사업자 부가가치세 신고 방법

13.최종 납부할(환급받을) 세액 확인 > 신고서 제출하기 > 납부

 

 

 

이상으로 임대사업자 부가가치세 신고 방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신고에 도움이 되셨길 바라겠습니다.

 

 


 

 

<함께보면 좋은 글>

 

>>임대사업자 종합소득세 신고 방법<<

 

>>홈택스 온라인 빠른 문의 방법<<